1545년 |
- 3월 8일 : (양 4월 28일) 새벽에 서울 건청동에서 태어났다.
|
1558년 13세 전후 |
- 3월 8일 : 아산 백암리 외갓집으로 이사하다.
|
1565년 21세 |
- 10월 : 전 보성군수 방진의 딸과 혼인하다.
|
1566년 22세 |
|
1567년 23세 |
|
1571년 27세 |
|
1572년 28세 |
- 8월 : 훈련원 별과에 응시하였으나 불합격하다.
|
1576년 32세 |
- 2월 : 식년무과에 병과로 합격하다.
- 12월 : 함경도 동구비보 의권관(종 9품)이 되다.
|
1577년 33세 |
- 2월 : 3남 염(뒤에 면으로 고침)이 태어났다.
|
1579년 35세 |
- 2월 : 훈련원 봉사(종9품)가 되다.
- 10월 : 충청병사의 고관이 되다.
|
1580년 36세 |
- 7월 : 전라도 고흥 발포의 수군인호(종4품)가 되다.
|
1582년 38세 |
- 1월 : 군기경차관 서익의 날조된 보고로 파면되다.(1차)
- 5월 : 복직되어 훈련원 봉사가 되다.
|
1583년 39세 |
- 7월 : 함경도 남병사 이용의 군관이 되다.
- 9월 : 권원보 권관이 되어 을지내를 포획, 공을 세우다.
- 9월 : 북병사 김우서의 무고로 공을 인정받지 못하다.
- 11월 : 훈련원 참군으로 승진되다.
- 11월 : 부친 이정 별세하다.
|
1584년 40세 |
|
1586년 42세 |
- 1월 : 사복시 주부(종 6품)가 되다.
- 1월 : 16일 후 함경도 조산보만호(종4품)로 승진되다. 1587년 43세
- 8월 : 녹둔도 둔전관을 겸하다.
- 9월 : 녹둔고에 침입한 여지느이 기습을 물리쳤으나, 북병사 이일의 무고로 파직되어 백의 종군하다.
|
1588년 44세 |
- 2월 : 시전부락 정벌에 우화열장으로 참가, 공을 세우다.
- 윤 6월 : 특사되어 항리 아사나으로 돌아오다.
- 윤 6월 : 조정의 불차탁용 서열 제 3위로 천거되다.
|
1589년 45세 |
- 2월 : 전라관찰사 이광의 군관이 되다.
- 11월 : 선전관을 겸하다.
- 12월 : 정읍현감(종 6품)이 되다.
|
1590년 46세 |
- 7월 : 고사리진 병마첨절세가 되다.
- 8월 : 만포진 첨사로 발령받았으나, 대간의 반대로 정읍현감에 유임되다.
|
1591년 47세 |
- 2월 : 진도군수 · 가리포청사로 발령되었다가 13일 전라좌수사(정3품)가 되다.
|
1592년 48세 |
- 3월 27일 : 거북선에서 대포를 쏘는 것을 시험하다.
- 5월 4일 : 경상도로 출전하다.
- 5월 7일 : 옥포, 합포 해전
- 5월 8일 : 적진포해전(적선 도합 44척 격파)
|
1592년 48세 |
- 5월 23일 : 가선대부가 되다.
- 5월 29일 : 사천해전(거북선 처음 참전)
- 6월 2일 : 당포해전
- 6월 5일 : 당항포해전
- 6월 7일 : 울포해전 - 적선도합72(67)척 격파
- 6월 7일 : 자현대부(정2품 하계)로 승직되다.
- 7월 8일 : 견내량 해전(한산대첩) 적선 59척 격침 나포
- 7월 10일 : 안골포 해전 적선 20여 척 격침
- 7월 10일 : 적선 도합 79척 격침정헌대부(정 2품 상계)로 승직되다.
- 9월 1일 : 부산포해전(정운전사) - 적선 도합 130여척 격침
|
1593년 49세 |
- 5월 12일 : 음포해전, 적선다수 격침 및 일본군 다수 사살
- 5월 12일 : 정철총통의 제조에 성공하다.
- 7월 15일 : 여수 본영과 별도로 한산도에 전진기지를 설치하다.
- 8월 15일 :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다.
|
1594년 50세 |
- 1월 21일 : 본영 격군 742명에게 잔치를 베푸다.
- 3월 4일 : 제 2차 당항포 해전 적선 31척 격파하다.
- 3월 7일 : 명나라 선유도사 담종인의 금토패문에 답하는 글을 보내다.
- 4월 6일 ~8일 : 한산도에서 무과별시를 보이다. (9일 어영담 병사)
- 9월 29일 : 제 1차 장문포해전, 빈배 2척 격침
|
1594년 50세 |
- 1월 4일 : 제 2차 장문포해전, 곽재유, 김덕령등과 수륙활동 작전을 펴다.
- 10월 1일 : 영등포 해전
- 10월 4일 : 조선 사후선 3척 실종, 사도전선 일부 분멸
|
1595년 51세 |
- 2월 : 둔정을 돌아보고 우수영을 시찰하다.
- 5월 : 소금을 굽다.
- 8얼 : 체찰사와 함께 각처의 진을 순시하고 순사 5,480명에게 잔치를 베풀다.
- 9월 : 충청수사 선거이와 작별하다.
|
1596년 52세 |
- 1월 : 청어를 잡아서 군량 500여석을 마련하다.
- 3월 : 오랜 진중생활로 인한 병을 심하게 앓다.(4월까지)
- 5월 : 진중에서 전염병으로 죽은 병사를 위해 여제를 지낸다.
- 7월 : 강화를 위해 일본에 가는 명 사신의 수송선을 차출한다.
- (윤)8월 10일 : 한산도에서 무과 초시를 보이다.
- 10월 7일 : 11일부터 10월초까지 도체참사 이원익과 함께 전라도 내각 진영을 순사하고 돌아오다. 어머니를 위한 수연을 베풀다.
|
1597년 53세 |
- 3월 4일 : 한성에서 투옥되다.(~4월)
- 4월 1일 : 출옥
- 4월 13일 : 모친상을 당하다.
|
1579년 53세 |
- 7월 16일 : 칠천량해전 참패
- 7월 23일 : 다시 삼도수군통제사가 되다.
- 9월 16일 : 명량해전승리(133척 중 31척 격침)
- 10월 14일 : 셋째 아들 면의 사망소식을 듣다.
- 10월 29일 : 목포 보화도(고하도)를 삼도수군 통제사영으로 삼다.
|
1598년 54세 |
- 2월 17일 : 보화도에서 고금도로 삼도수군통제사영으로 옮기다.
- 7월 18일 ~19일 : 절이도 해전에서 왜선 50여척을 격침시키다.
- 9월 20일 ~10월 4일 : 일서로군과 합동으로 순천예교성 공략
- 11월 19일 : 전사하다. 3일후 고금도로 유해를 옮기다.
- 12월 4일 : 우의정에 추증되다.
|
1599년 |
- 2월 : 고금도에서 영구행렬이 출발하여 아산 금성산아래에 도착
- 2월 11일 : 유해를 안장하다.
|